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꿀팁

에니멀 호더

by kwon0002 2025. 6. 9.
반응형

 

1.에니멀 호더란?

에니멀 호더(Animal Hoarder), 일명 "노아 증후군(Noah syndrome)"은 반려동물을 과도하게 수집하며 제대로 보살피지 못하는 정신적·심리적 장애입니다.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에서는 이는 강박장애의 한 유형이라고 분류되며, 단순한 동물 사랑이 아닌 정서적 불안, 집착, 현실부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

즉, 호더는 동물들에게 깊은 애착을 느껴 포기하지 못하고 계속 모으지만, 급기야는 영양·위생·의료적 돌봄을 제공하지 못하게 됩니다 .


2.최근 국내외 동향

  • 한국(2025년 6월)
    최근 동대문구의 한 40대 남성이 21마리 강아지를 방치해 3마리가 굶어 죽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경찰은 관련법(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수사 중이며, 사건 자체는 정신적 문제의 반영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 독일(2024년 2월)
    한 주택에서 1500여 마리의 쥐가 발견되고, 이후 68마리 치와와 방치 등 대규모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연간 케이스가 급증하고 있지만 공적·민간 지원 체계는 여전히 미비하다는 지적입니다 


3.심층 분석: 원인과 위험성

구분내용
심리적 배경 어린 시절 상처, 애정 결핍, OCD(강박장애), 현실 인식 실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종류 ① 과중 돌봄형 ② 구조자형 ③ 착취형 등으로 구분됨
동물 피해 영양실조 · 질병 · 죽음 증가, 파충류·조류·견묘 포함한 평균 수십~수백 마리 이상 사례 있음
인체·환경 영향 배설물·암모니아로 인한 호흡기 질환 위험 ↑, 곰팡이·해충 번식·화재 위험, 사회적 고립 초래 .
 


.4.해결책과 사회적 대응

  1. 제도적 접근
    • 하와이(2008년)에서는 15마리 이상 동물 소유 시 치료 법적 의무화, 심리상담법 도입 
    • 한국에서는 동물보호법 위반으로 수사 및 처벌 실적 증가 중이며, 사례 발생 시 즉시 당국 신고 후 조치가 효과적입니다 .
  2. 치료 및 재활
    • 심리치료(정신과 상담), 동물 케어 교육 및 서비스 연계. ASPCA 등 기관은 “Hoarding Prevention Team”을 운영 중입니다 
  3. 지역사회 역할
    • 이웃·수의사·동물단체의 조기 신고와 지원이 중요하며, 재발 방지를 위해 교육 및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5.마무리

에니멀 호딩은 단순한 반려동물 수집이 아닌 정신적·사회적 위기 상황입니다. 동물과 사람 모두의 건강과 안전, 사회적 연결망을 회복하기 위해선 초기 신고, 법적 개입, 심리치료와 지역지지체계 확립이 필수적입니다. 주변에서 의심 사례가 발견된다면 반드시 적극적인 관심과 행동이 필요합니다.


6.자주 묻는 질문 (FAQ)

Q1. 반려동물 여러 마리 키우는 것과 호더의 차이가 뭔가요?
A1. 기준은 ‘수량’이 아닌 적절한 보살핌 여부입니다. 먹이·의료·위생·생활공간이 모두 열악한 상태라면 다수라도 호딩에 해당합니다 .

Q2. 에니멀 호더는 법적으로 처벌받나요?
A2. 한국의 경우 동물보호법 위반으로 입건되며, 정신적 문제 고려 없이 법적 처벌과 치료명령을 병행하는 추세입니다 .

Q3. 윤리적·심리적으로 어떻게 도울 수 있나요?
A3. 이웃 또는 가족이 호더일 경우, 연민과 이해를 바탕으로 접근한 뒤, 동물보호기관 또는 당국에 신고하고 전문기관과 연결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

Q4. 호더 된 동물들은 어떻게 되나요?
A4. 수의처치·위생처리 후 임시 보호소 이송되며, 이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입양 또는 중성화·돌봄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재유기·재발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도 병행됩니다.

Q5. 내가 신고하면 불이익 없나요?
A5. 일반적으로 신고자 정보는 비공개 보호되며, 오히려 공동체 건강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대응이 권장됩니다.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www.animal.go.kr

 

 

 

유기견 보호소 찾기 꿀팁!

1.유기견 보호센터유기견 보호센터는 지자체와 민간단체가 운영하며, 주인 없는 유기견을 구조, 치료, 임시 보호한 뒤 입양까지 연결하는 전문 시설입니다. 한국에는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

k0001.co.kr

 

반응형